핵심과제 4.교내외 연구 활성화를 위한 기반 조성
4-1. 연구자중심의 연구 지원 시스템 강화
- 행정적, 재정적 지원 체계 개선 통해 연구몰입 환경 조성
- 연구지원 관련 제도정비, 연구관리 전문가 양성 등 고도화 된 연구지원 서비스 제공
- 연구지원을 위한 관련 전자 자료 확충 및 국내외 저명 학술지 게재 지원
- 연구소 평가기준 개선
4-2. 연구 경쟁력 혁신을 위한 성과 지원 체계 고도화
- 연구 성과의 질적향상을 위한 평가와 보상체계 구축
- 중장기 전임교원 충원 계획 수립 및 업적평가 제도 개선
- Moving Target 및 IF Factor 등 제도 개선 통한 우수 연구자 인센티브 확대
- 외부 연구소 및 산업체 우수 인력 초빙
4-3. 미래선도형 기초연구 및 융합연구 중점 육성
- 장기적 관점의 기초연구와 학제간 융합연구 지원 및 육성
- 대형 외부 연구 사업단 유치 및 지원
- 학제간 연구센터 설립 및 협력 연구 활성화
4-4. 첨단 연구 인프라 확충 및 연구환경 최적화
- 최신 연구장비와 시설확충, 연구 환경 및 실험실 환경 개선
- 선택과 집중을 위해 특성화 분야 연구역량 강화 위한 장비 확충
- 실용적 연구 위한 공동활용시스템구축
- 데이터 기반 연구지원 시스템 개발 및 운영
핵심과제 5.학생 연구경쟁력 제고
5-1. 대학원 혁신을 통한 연구중심대학 거버넌스 체계 확립
- 대학원중심 거버넌스 확립 및 운영 고도화
- 연구중심 대학 체제 정착을 위한 제도 개편
- 대학원 행정지원 체계 효율화
- 대학원중심 의사결정 구조강화
5-2. 연구중심 대학원 교육체계 고도화
- 대학원 학위 및 학사 운영 관리강화
- 융복합 연구 촉진을 위한 학사제도 개선, 학생 연구윤리 및 학습 질 관리 시스템 고도화
- 연구중심 교육과정 개편 및 산업·사회 수요연계 연구과제 발굴
- 대학원 교육과정 질 관리 체계 구축
5-3. 학생 연구역량 함양 프로그램 확대
- 학부생 연구 참여프로그램(UROP) 및 연구실 인턴십 운영
- 학생 주도형 연구과제 지원 확대
- 국내외 학술활동 참여 지원 강화
- 첨단 연구장비·시설 접근성 제고 및 산학협력·공동연구 참여기회 확대
5-4. 우수 연구인재 확보 및 지원체계 구축
- 우수 대학원생 유치전략 수립 및 실행
- 연구인력 맞춤형 장학 및 인센티브 체계 강화
- 학생 연구성과 확산 및 경력 개발지원, 홍보체계 구축
- 학문후속세대 지원
핵심과제 6.산학협력 인프라 구축 및 성과 확산
6-1. 미래신기술분야 인재양성 체계 고도화
- 산업체 협력 연구 프로젝트 기획 및 운영 확대
- 산업체 전문가 초청 강연 등 산업계 전문가 활용 확대
6-2. 맞춤형 기술사업화 및 창업지원
- 산학연 연계 기술 혁신 및 미래 신성장 기술사업화 고도화
- 창업생태계 진입 지원 프로그램 운영 통한 교원 창업 활성화
- 지역 핵심산업 및 지역 가치기반 창업기업 발굴·육성
- 창업 펀드 및 투자 네트워크 구축
6-3. 지속가능한 지산학연 공유·협업 체계 고도화
- 지역사회, 산업계, 학계, 연구기관 간의 협력네트워크 구축 및 강화
- 지자체-대학간 공유 협업 인프라 고도화
- 지역 기반 연구 및 산학협력 연계 확대를 위한 커뮤니티 상생센터 역할 고도화
- 지역 특화산업 연계 산학연 공유협업 체계 강화
6-4. 산학협력 생태계 및 클러스터 고도화
- 대학 산학협력 친화형 생태계 고도화
- 산학협력 고도화를 통한 재정자립도 제고
- 지역 내 산학연 협력 기반 강화를 통한 지산학연협력 생태계 구축
- 산학협력 친화형 교원 인사제도 운영 및 산학협력 중점 교수 임용 확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