• 1
  • 발전전략
수요자 중심 교육체계 구축

핵심과제 1.수요자 중심 창의융복합 교육과정 운영

1-1. 전공역량 강화를 위한 전공 교육과정 혁신

  • 사회와 산업 요구에 부합하는 전공 교육과정 개편 및 전공역량 중심의 교육 체계 구축
  • 산학연계교육, 캡스톤디자인운영및 산학연계교육과정실험·실습교과목확대
  • 진로와 연계한 전공 교육 로드맵 구축
  • 전공 및 계열별 첨단 전공지식 특강 강화

1-2. 인재상 구현을 위한 핵심역량 기반 교양 교육과정 체계 구축

  • 인재상 및 핵심역량 기반 교양 교육과정 개편을 통한 기초역량 강화
  • 글쓰기·말하기 등 기초 소통역량 강화
  • 핵심교양, 자유교양 수요 분석을 통한 강좌 개설

1-3. 경계를 넘나드는 실용융합인재 양성 교육체계 고도화

  • 학제 간 경계를 허물고 다양한 분야 융합하는 교육과정을 통해 미래사회에 필요한 융합형 인재 양성
  • 연계융합전공 및 마이크로전공 활성화
  • 체험중심 실용교육 프로그램 운영
  • 대학 간 협력(SharedUniversity) 융합교육

1-4. 공동체정신 함양을 위한 창의융복합 TEAM교육과정 운영

  • TEAM 교육인증의 고도화(우수인증)를 위한 교과목 신설
  • 2개의 수업을 동시에 수강하며 사회연계활동을 포함하여 진행되는 팀팀Class고도화
  • 동아리·학회중심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결과물을 도출하고 학점 인정받는 알파프로젝트 운영
  • TEAM-PBL, TEAM-UP등 창의융복합 혁신 교육과정 운영

1-5.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자 중심 교육 생태계 조성

  • 지역사회 문제를 교육과정에 접목하여 실제적인 문제해결 역량을 키우고 사회공헌을 실천
  • 시민참여형(Civic Engagement)교육모델 제시

핵심과제 2.맞춤형 교육지원 강화

2-1. 교수학습 역량 강화 체계 구축

  • 맞춤형 교수법 프로그램 운영 및 우수 교수법 발굴, 수업평가 하위 교수자 집중 지원
  • 신임 교수를 위한 수업연구 및 새내기 교수법 강의 운영, 교수법 공동체 운영 및 활성화
  • 학습 지원 프로그램 개발·운영 및 학습 공동체 프로그램 활성화
  • 학습배려자 기초학력 부진 예방 및 학력증진 프로그램 운영

2-2. 교육성과 진단 및 수요자 중심 환류체계 구축

  • 교육성과 체계적 측정·분석하여 지속적인 교육 품질 개선에 활용
  • KMU 핵심역량진단, KMU 전공능력진단 등 정기적 시행 통한 교육성과 평가체계 고도화
  • 교육수요자만족도조사,신입생대상학교적응력조사실시통한학생중심선순환체계구축

2-3. 미래사회에 대응하는 유연하고 창의적인 학사제도 운영

  • 사회변화·산업계 요구에 대응한 학사제도 구축
  • 학생수요 반영한 학사제도 개선
  • 전공자율 선택제 통한 전공 선택권 확대
  • 오메가스쿨 설립 및 운영

2-4. 맞춤형 평생교육 학습 지원 체계 구축

  • 평생교육 혁신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
  • 미래산업 분야 산업체 재직자 전문인력 양성 구축·운영
  • 사회 맞춤형 계약학과 확대·운영
  • 특화분야 교육 연계 오픈 캠퍼스 운영

핵심과제 3.학생성장 지원체계 구축

3-1. 진로 탐색 지원 및 기업가정신 기반 취창업 역량 강화

  • 수요자 맞춤형 진로 취업 프로그램 개발 및 확대
  • 기업인사담당자 정기적 접촉 및 다양한 기업군 네트워크 구축 강화
  • 창업보육 및 사업화 지원 프로그램 확대
  • 현장실습 프로그램 다양화, 참여인원 확대 및 지원 강화

3-2. 학생 마음건강 통합관리체계 구축

  • 학생 상담 지원 체계 구축 및 DB화
  • 위기상담 원스톱 서비스 체계 구축
  • 학습부진(학사경고포함) 예방 및 사후 프로그램 운영
  • 학교생활 적응 및 마음건강 회복 프로그램 운영

3-3. 학생성공 전주기 종합지원체계 구축

  • 입학부터 졸업 후 까지 학생의 성장과 성공을 위한 통합적인 지원 시스템 구축
  • 체계적 입시 결과 분석 및 입시 전략기획 기능 강화 통한 우수 신입생 유치 및 육성
  • 장학금 및 기숙사 등 학생복지 지원 강화, 학생 소통 통로 활성화 등 학생활동 지원